NCS 직업윤리12 직업윤리 모듈 - 문제 [문제] 1. 다음 중 '윤리'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① 윤리는 공동행동의 규칙을 기반으로 형성된다. ② 윤리는 사회의 공동목표 달성과 욕구 충족에 도움이 되는 행위가 정립된 것이다. ③ 윤리는 공동생활 속에서 협력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하였다. ④ 윤리는 사회 상황과 관계없이 변할 수 없는 것이다. 2. 다음 중 우리나라 윤리관의 형성과 관련된 내용 중 바르지 않은 것은? ① 고대 국가의 형성과 더불어 발생하였다. ② 통치권의 보존과 생명권의 확보와 관련이 있었다. ③ 질적 윤리관보다 양적 윤리관이 우선되었다. ④ 중세 이후에는 불교 및 유교의식과 함께 발전하였다. 3. 우리나라 직업관에서 출세론과 관련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? ① 입신양명이라는 용어가 바뀐 것이다. ② 노동의 중요성을.. 2019. 8. 13. 직업윤리 모듈 - 정리 [학습정리] 1. 윤리적인 인간은 자기 개인의 이익보다 ‘공동의 이익을 추구’하고, ‘도덕적 가치 신념’을 더욱 중요시하는 사람이다. 2. 살아가는 과정에서 어떤 행위는 '마땅히 해야 할 행위', 어떤 행위는 '결코 해서는 안 될 행위'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것이 형성된다.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, 모든 윤리적 가치는 만고불변의 진리가 아니라 시대와 사회상황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게 변화되는 것이다. 3. 윤리란 '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지켜져야 할 도리를 바르게 하는 것' 또는 '인간사회에 필요한 올바른 질서'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. 동양적 사고에서 윤리는 전적으로 인륜(人倫)과 같은 의미이며, 엄격한 규율이나 규범의 의미가 배어있는 느낌을 준다. 4. 현실적으로 사람들이 행하는 비윤리적 행위의 .. 2019. 8. 13. 직업윤리 모듈 - 성예절의 의미 1. 성예절의 의미 직장에서 성예절을 지키지 않으면 성희롱으로 연결되는데, 이러한 성희롱 문제된 사건에서 가해자들의 한결 같은 항변이다. "희롱할 의사가 없었다", "좋은 의도에서였다", "다들 그렇게 한다", "늘상 있는 일 아니냐"고 하지만, 피해자는 심한 불쾌감가 모욕감, 자기 비하감을 느껴 직장생활과 업무에 많은 지장을 받았다고 한다.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러한 인식과 입장 차이에서 성희롱의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. 직장내에서 발생하는 성희롱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. ① 육체적 행위 - 입맞춤, 포옹 등 원하지 않는 신체 접촉 - 가슴이나 엉덩이 등 특정한 신체부위를 만지는 행위 - 어깨를 잡고 밀착하는 행위 ② 언어적 행위 - 음란한 농담을 하는 행위 - 외모에 대한 성적 비유 - 성적인 내용.. 2019. 8. 13. 직업윤리 모듈 - 직장에서의 예절 1. 예절의 의미 예절이란 일정한 생활문화권에서 오랜 생활습관을 통해 하나의 공통된 생활방법으로 정립되어 관습적으로 행해지는 사회계약적인 생활규범이다. 예절은 에티켓이라는 용어로 많이 활용되는데, 현대의 에티켓의 본질은 ①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는다. ② 남에게 호감을 주어야 한다. ③ 남을 존경한다 등의 세 가지 뜻으로 요약될 수 있다. 즉, 에티켓은 남을 대할 때의 마음가짐이나 태도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. 에티켓과 매너의 차이는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거론되지 않지만, 매너는 보통 생활 속에서의 관습이나 몸가짐 등 일반적인 룰을 말하고, 에티켓은 어원적으로는 보다 고도한 규칙 ·예법 ·의례 등 신사 ·숙녀가 지켜야 할 범절들로서 요구도(要求度)가 높은 것을 말한다. 2. 예절의 특성 사람은 사회생활을 .. 2019. 8. 13. 이전 1 2 3 다음